티스토리 뷰
군대에 대해 잘 알지 못하시는 분들에게는 군복에 붙어있는 계급장을 보고 누가 더 높은 계급인지 헷갈려 하시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군대 계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군대 계급
이등병- 일등병 - 상등병- 병장
위 4 계급이 병사 계급입니다. 우리나라는 징병제이기에 병사 계급은 직업 군인이 아니고 의무 복무를 하는 징병 군인입니다. 여기서 많이 헷갈려 하시는게 왜 일등병이 이등병 보다 높은지 알수 없다는 반응이 많이 나오는데요.
그 이유는 1946년 최초 병사 계급은 2개 였는데 일등, 이등 인 등수 개념이라 일등이 더 높아 이렇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 상등병을 삼등병이라 알고 계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사- 중사- 상사- 원사
위 계급은 부사관 계급입니다. V자 모양의 갯수에 따라 높아집니다. 이전에는 병장 계급장위에 부사관 계급을 표시했는데 크기가 크고 간부로서 위상제고를 위해 장교와 유사한 형태로 개정되었습니다.
나뭇가지를 형상한 것으로 굳건한 기초위에 자라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문화된 기술, 숙련된 전투력 개발 능력의 축척을 계급장에 나타내었습니다.
준위- 소위- 중위- 대위
위 계급은 위관장교의 계급입니다. 마름모의 다이아몬드를 상징하는 것으로 가장 단단하면서 깨어지지 않는 특성을 초급장교로서 국가 수호의 굳건한 의지를 표현한 계급장입니다.
준위의 계급장 색이 금색이라 준위가 더 높은건가 착각이 들수도 있지만 위관장교중 막내 계급입니다. 엄밀하게 따지면 준위는 준사관으로 분류합니다.
소령- 중령- 대령
영관장교의 계급으로 대나무의 사계절 항상 푸르름과 굳건한 기상 그리고 절개를 상징하는 계급장입니다.
장교부터는 일선부대에서는 보기 힘든 계급입니다.
소령은 보통 대대 작전과장, 연대급부대 참모직을 맡게 됩니다.
중령은 대대장을 맡게 됩니다. 규모있는 독립부대를 운영하게 됩니다.
대령은 연대장 보직을 맡습니다. 연대는 보병의 경우 3개 대대가 모여 하나의 연대가 됩니다. 사단 참모장, 부사단장도 대령입니다. 군단 참모도 대령계급이 맡습니다.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장군계급으로써 계급장의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로서 군에서의 모든 경륜을 익힌 완숙한 존재임을 상징하며 위관장교의 다이아몬드는 지하를 영관장교의 대나무는 지상을 장군의 별은 우주를 표현 했습니다.
사령관이라 불리는 준장은 보통 여단장 보직을 맡습니다. 부군단장이나 군사령부 참모 등을 맡습니다.
소장은 우리가 흔히 투스타라고 부르는 계급으로 지휘관의 꽃이라는 사단장을 맡습니다.
사단장은 휘하 병력이 1만여병에 이르며 해당 사단내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수 있습니다.
중장은 군단장이나 각 군본부 참모차장의 핵심 보직을 갖게 됩니다. 각군 사관학교장도 중장계급이 맡게되며 해군, 공군 경우 작전사령관 역시 중장입니다 교육 사령관, 인사사령관, 항공작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특전사령관도 중장입니다.
최종보스인 대장은 우리나라에서 8명만이 갖고 있는 계급입니다.
합동참모의장입니다. 참모총장을 비롯 육군은 1,2,3군 사령관도 대장 계급장을 갖고 있습니다.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까지 대장입니다. 장군 계급만해도 평균연봉이 1억원이 넘는다고 합니다.